“안전관리자가 직접 만든 위험성평가 양식 공유 합니다”

2025. 9. 26. 08:53점검 체크리스트

직장에서 안전관리를 담당하다 보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이 바로 위험성 평가입니다.
산업안전보건법에서도 사업주는 정기적으로 작업장의 위험을 파악하고 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규정하고 있죠.
저 역시 처음에는 막막했습니다. 인터넷을 아무리 뒤져도 우리 회사 실정에 딱 맞는 위험성 평가 양식을 찾기 어려웠거든요.
그래서 결국 직접 만들었습니다. 오늘은 그동안 현장에서 다듬어 온 제 포맷을 공유하려고 합니다.

2025 위험성평가_Rev.XX.xlsx
0.36MB
위험성평가 포맷

내가 만든 위험성 평가 양식의 특징

  1. 엑셀 기반: 공정·작업 단위별로 위험요인을 입력하고 자동으로 위험도 산정이 가능합니다.
  2. 현장 중심 구조: 실제 공정을 고려해 “작업 단계–위험요인–위험도–개선대책” 순서로 설계했습니다.
  3. 간편한 수정: 작업 환경이 바뀔 때 시트만 복사해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쉽습니다.

위험성 평가가 중요한 이유

위험성 평가는 단순히 법규를 맞추기 위한 절차가 아닙니다.
사고를 예방하고, 직원들의 안전을 확보하며, 나아가 회사의 비용 손실을 줄이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죠.
실제 제 경험상, 사전에 위험요인을 기록하고 관리했을 때 산업재해 건수가 크게 줄었고,
정기 안전점검 때도 준비가 수월했습니다.

 

작성 팁과 활용법

제가 현장에서 느낀 몇 가지 팁을 공유합니다.

  • 세분화: “사출 공정”처럼 큰 단위보다는 “ 셋업–생산–검사” 등 세분화하면 위험요인을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.
  • 현장 인터뷰: 작업자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듣는 것이 가장 빠른 위험요인 파악법입니다.
  • 개선대책 기록: 단순히 위험을 적는 것에서 끝나지 말고, 개선 시기와 책임자를 함께 기록해야 실행이 됩니다.

요약

  • 위험성 평가 양식 무료 제공
  • 산업안전보건법 준수 및 사고 예방 필수 도구
  • 엑셀 기반, 현장 맞춤형, 자동 위험도 계산
  • 작성 팁: 세분화·현장 인터뷰·개선대책 필수

이 포맷은 실제 제가 관리하던 제조 공장에서 1년 이상 사용하며 다듬은 결과물입니다.
현장에서 바로 적용해도 무리가 없을 거라고 자신합니다.
아래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셔서 각 사업장에 맞게 조금만 수정하면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안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.
제 양식이 여러분의 현장 안전 관리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